• 2023. 5. 13.

    by. 내성적인군인

    자산은 기업이 소유 또는 통제하고 있는 유 ㆍ무형의 재화, 용역 및 권리로 미래에 경제적 효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자원이다.

    자산은 크게 유동자산과 비유동 자산으로 구분하며 유동자산은 기업이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나타낸다.

    유동자산은 다시 당좌자산과 재고자산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밖의 모든 자산은 비유동 자산으로 분류한다. 비융동 자산은 다시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기타 비유동 자산으로 분류된다. 

     

     

    당좌자산

    당좌자산은 유동 자산 중에서 언제든지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으로 현금, 당좌예금, 보통예금, 외상 매출금, 받을 어음, 단기 대여금, 미수금, 단기 매매 증권, 선급금, 선급비용 등이 있다.

     

    1.현금

    현금계정에는 타인 발행 수표, 자기앞수표, 가계수표, 송금수표, 만기가 도래한 국공채 등 통화 대용 증권이 포함된다.

     

    2.당좌예금

    당좌예금은 기업과 은행 간의 당좌 계약 간 발생하는 예금으로 기업은 수시로 예금하고 수표를 발행하여 인출이 가능한

    무이자 예금이다.

    당좌차월계정은 은행과 당좌 차월 계약을 맺어 예금 이상의 금액을 수표로 발행하더라도 은행이 대신 지급하게 할 수 있다. 당좌예금 잔액을 초과한 수표 발행약을 부채로 처리한다.

    추후 당좌 입금 시 우선 상계하고, 결산 시점까지 상계되지 못 한 당좌 차월은 단기 차입금 계정으로 대체한다.

     

    3.현금성 자산

    비용없이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이자율 리스크가 없으며 취득 당시 만기가 3개월 이내인 자산을 말한다.

    회계 연도 말의 결산 시점에서는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라는 과목으로 통합하여 표시한다.

     

    4.단기 금융 상품

    단기 금융 상품은 금융 기관이 취급하는 정기예금, 적금, CD, CMA 등 단기적 자금 운용을 목적으로 소유하거나 상환 기한이 1년 이내인 상품이다.

     

    5.단기 매매 증권

    기업이 여유 자금을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 단기간 동안 시세 차익을 목적으로 취득한 국공채, 사채 등이 해당된다.

    단기 매매 증권을 취득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 등 제비용은 별도의 수수료비용(영업 외 비용)으로 회계처리한다.

     

    6.매출채권

    일반적으로 거래 시 외상으로 매매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상품을 외상으로 판매하여 나중에 받을 채권을 외상 매출금이라 하고, 이를 보증하는 어음증서(받을 어음)를 매출 채권이라 한다.

     

    7.매출채권의 대손처리

    결산일 보유한 매출 채권인 외상매출금과 받을 어움 중 회수불가능한 금액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매출 채권 불능에 대해 대손하며 비용으로 인식할 때 대손 상각비 계정으로 처리한다.

    매출 채권에 대한 차감적 평가 계정인 대손충당금 계정 대변에 기입하여 간접적으로 차감한다.

    단기 매매 증권 평가 손실은 기말 결산 시 보유하고 있는 유가 증권이 시세가 하락하여 장부 금액 이하일 때 그 차액을 단기매매증권평가손실 계정 차변에 기입한다.

    단기 매매 증권을 장부 금액 이하로 처분한 경우, 그 차액을 단기 매매 증권 처분 손실이라하며, 단기매매증권 처분 손실 계정 차변에 기입한다.

     

    8.단기대여금

    거래과정에서 차용 증서에 의한 금전을 대여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대여기간이 1년 이내는 단기 대여금으로 처리하고 발생하는 이자는 이자수익으로 처리한다.

    단 1년을 초과하면 장기 대여금으로 처리한다.

     

    9.미수금

    일반적인 상품 매매가 아닌 상품 이외의 자산을 매각하면서 대금은 차후에 받기로 한 채권이다.

     

    10.선급금

    매입을 위해 대금의 일부나 전부를 계약금 형태로 선 지급한 금액을 말하며 자산 계정으로 처리한다.

    인수가 완료되고 대금 결제가 정리되면 채권은 소멸한다.

     

    11.가지급금

    현금이나 수표를 지출했지만 금액을 확정지을 수 없을 시 임시 계정인 가지급금으로 처리하고 사실이 확인되면 해당 계정으로 대체한다.

     

    12.현금과부족 계정

    장부 기입 누락, 계산 착오 등으로 현금의 실제 잔액과 장부 잔액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일시적으로 현금과부족 계정을 설정하여 장부 잔액과 실제 잔액을 일치시킨다.

    결산일까지 상계가 되지 않을 경우 부족액은 잡손실로 처리하고, 초과액은 잡이익으로 처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