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5. 13.

    by. 내성적인군인

    재고자산이란 기업의 주된 영업 활동상에서 판매를 목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자산(상품 및 제품), 판매를 위해 현재 생산 중에 있는 자산(재공품), 판매용 자산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거나 소모될 자산(원재료, 반제품, 저장품) 등을 말한다.

     

    상품 매매 등식

    매출 총이익 = 당기 순매출액 - 매출 원가
    매출 원가 = (기초 상품 재고액 + 당기 순매입액) - 기말 상품 재고액
    당기 순매입액 = 당기 총매입액 - (매입 에누리액 + 매입 환출액 + 매입 할인액)

    당기 순매출액 = 당기 총매출액 - (매출 에누리액 + 매출 환입액 + 매출 할인액)

     

    타계정 대체

    기업이 판매용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사무용으로 전용하거나 접대비나 광고선전비 등으로 사용할 경우 상품계정에서 다른 계정으로 옮기는 것을 타계정대체라 한다.

     

    기말 재고 자산의 인식 시점

    1. 운송중인 상품(미착상품)

     - 선적지 인도 기준 : 발송과 동시에 소유권이 매입자에게 이전

     - 도착지 인도 기준 : 판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

     

    2. 위탄판매

     - 수탁자가 보관하고 있는 재고자산은 위탁자의 재고자산에 포함된다.

     

    3. 시용품판매

     - 매입의사를 표시하지 않은 상품을 재고자산에 포함시킨다.

     

    4. 할부판매

     - 인도시점에서 매출로 인식하고 재고자산에서 제외한다.

     

    재고 자산의 수량 결정 방법

    계속기록법

     - 재고자산을 계속적으로 기록함으로써 기말에 재고파악은 매입한 수량에서 판매된 수량을 차감하여 계산한다.

    실지재고 조사법

     - 상품이 입고 시에만 기록하며 판매 시에는 기록하지 않는다. 기말에 재고자산의 수량을 직접 조사해서 수량을 파악 후 판매수량을 확인한다.

     

    재고 자산의 단가 결정 방법

    1. 개별법

     - 제품 각각의 개별적인 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각 재고상품의 평균원가로 계산하는 가중평균법과 상대되는 개념으로, 재고자산의 종류와 수량이 많고 단위원가의 금액이 상대적으로 적을 때는 비효율적이다. 다만 골동품이나 미술품 등 고가의 상품에 대해서는 원가를 계산하는데 적합한 방식이다.

     

    2. 선입 선출법(First in first out)

     - 먼저 매입한 상품부터 먼저 판매하는 방식으로 매입 순서를 가정하여 인도 단가를 결정한다.

       * 들어온 것부터 판매한다

     

    3. 후입 선출법(Last in, Last out)

     - 최근에 매입한 상품부터 판매하는 방식으로 매입 순서를 가정하여 인도 단가를 결정한다. 매입 역법이라고 하고 한국에서는 채택하지 않는 방식이다.

     

    4. 이동 평균법

     - 상품의 단가가 다를 경우 재고액과 매입액을 합하고 수량으로 나눈 새로운 단가를 산출하여 적용하는 방법이다.

     

    5. 총 평균법

     - 기말에 장부 마감 시 인수란에서 총 매입 금액을 총 매입수량으로 나누어 총평균을 구하여 단가를 적용하는 방법이다.

     

    각 방법의 재고자산과 매출원가,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 비교

    ※ 물가 상승을 가정

    ① 재고자산금액 크기 : 선입선출법 > 이동평균법 > 총평균법 > 후입선출법
    ② 매출원가의 크기 : 선입선출법 < 이동평균법 < 총평균법 < 후입선출법
    ③ 당기순이익 : 선입선출법 > 이동평균법 > 총평균법 > 후입선출법

     

    재고자산 감모손실과 평가손실

    재고 자산 감모 손실

     재고 자산이 도난, 증발 등으로 상품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정상적일 시 매출원가에 포함시키고 비정상적인 경우 재고 자산 감모 손실계정에 기입한다.

     

    재고 자산 평가 손실

     기말 결산 시 재고 자산의 가치 하락 등으로 장부 가액보다 가치가 감소한 경우 재고자산평가충당금으로 표시하고 매출원가에 가한다.

     

    재고자산의 기말평가 

    재고자산의 시가가 취득원가보다 하락한 경우에는 저가법을 적용하여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을 결정한다.

    ① 손상을 입은 경우

    ② 보고기간 말로부터 1년 또는 정상영업주기 내에 판매되지 않았거나 생산에 투입할 수 없어 장기체화된 경우

    ③ 진부화하여 정상적인 판매시장이 사라지거나 기술 및 시장 여건 등의 변화에 의해서 판매가치가 하락한 경우

    ④ 완성하거나 판매하는 데 필요한 원가가 상승한 경우

     

    저가법 적용방법

    재고자산 평가를 위한 저가법은 항목별로 적용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유사하거나 관련 있는 항목들을 통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동일한 제품군으로 분류되고, 동일한 지역에서 생산되어 판매되며, 그리고 그 제품군에 속하는 다른 항목과 구분하여 평가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경우에 적용한다.

     

    시가는 매 회계기간 말에 추정한고 재고자산평가손실의 환입은 매출원가에서 차감한다.